Студопедия
Случайная страница | ТОМ-1 | ТОМ-2 | ТОМ-3
АрхитектураБиологияГеографияДругоеИностранные языки
ИнформатикаИсторияКультураЛитератураМатематика
МедицинаМеханикаОбразованиеОхрана трудаПедагогика
ПолитикаПраво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еПсихологияРелигия
СоциологияСпортСтроительствоФизикаФилософия
ФинансыХимияЭкологияЭкономикаЭлектроника

Неизвестный автор. Повесть о Чхунхян 1 страница



Неизвестный автор. Повесть о Чхунхян

『완판본 열녀 춘향 수절가』 -작자 미상-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임금의 덕)이 넓으시사 성자성손(성과 덕을 갖춘 임금의 어진 자손)은 계계승승하사 금고(군중에서 치는 쇠붙이와 북) 옥적(옥으로 만든 피리)은 요순 시절이요 의관 문물(그 나라 사람들의 옷차림새 및 인문 방면과 물질 방면의 모든 사항)은 우탕(중국 고대의 성군으로 우왕과 탕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은 주석지신(나라에 아주 중요한 신하를 기둥과 주춧돌에 비유해서 이르는 말)이요 용양호위(용처럼 뛰어오르고 호랑이처럼 지킴)는 간성지장(국가를 위하여 방패가 되고 성이 되어 외적을 막는 장수)이라. 조정에 흐르는 덕화, 향곡(시골 구석)에 퍼졌으니 사해 굳은 기운이 원근에 어려 있다. 충신은 만조(조정에 가득 참)하고 효자 열녀 가가재(집집마다 있음)라. 미재미재(아름답고 아름답도다)라 우순풍조(비와 바람이 때를 어기지 아니하고 순조로움)하니 함포고복(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리며 즐겁게 지냄) 백성들은 처처에 격양가(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읊은 노래)라.

이 때 전라도 남원부에 월매라 하는 기생이 있으되 삼남(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의 총칭)의 명기(가무에 능하고 용모가 뛰어난 이름난 기생)로서 일찍이 퇴기(기생의 자리를 물러남)하여 성가(成哥)라 하는 양반을 데리고 세월을 보내되 연장사순(나이가 장차 마흔 살이 됨)을 당하여 일점 혈육이 없어 일로 한이 되어 장탄수심에 병이 되겠구나. 일일은 크게 깨쳐 옛사람을 생각하고 가군(남편)을 청입(들어오기를 청함)하여 여쭈오되 공순히 하는 말이,



"들으시오. 전생에 무슨 은혜 끼쳤던지 이생에 부부 되어 창기 행실 다 버리고 예모(예절을 지키는 모양)도 숭상하고 여공(여자들이 하는 길쌈질 따위)도 힘썼건만 무슨 죄가 진중하여 일점 혈육이 없으니 육친무족(가까운 피붙이가 하나도 없음) 우리 신세 선영향화(조상의 제사를 받듦) 누가 하며 사후감장(죽은 뒤 자손들이 장사를 치름) 어이 하리. 명산대찰에 신공(신에게 드리는 공덕)이나 하여 남녀간 낳게 되면 평생 한을 풀 것이니 가군의 뜻이 어떠하오?"

성참판 하는 말이,

"일생 신세 생각하면 자네 말이 당연하나 빌어서 자식을 낳을진대 무자(無子)할 사람이 있으리오."

하니 월매 대답하되,

"천하대성(天下大聖) 공부자(공자의 높임말)도 이구산에 빌으시고 정나라(춘추전국시대의 한 나라) 정자산(춘추시대 정나라의 재상 곤손교)은 우형산에 빌어 나계시고, 아동방(우리나라를 일컬음) 강산을 이를진대 명산대천이 없을소냐. 경상도 웅천 주천의는 늦도록 자녀 없어 최고봉에 빌었더니 대명천자 나계시사 대명천지 밝았으니 우리도 정성이라 드려 보사이다."

공든 탑이 무너지며 심은 나무 꺾일소냐. 이 날부터 목욕재계 정히 하고 명산승지 찾아갈 제 오작교(광한루 안에 있는 조그만 다리) 썩 나서서 좌우산천 둘러 보니 서북의 교룡산(남원에 있는 산)은 술해방(서북쪽)을 막아 있고 동으로는 장림(길게 이어 있는 숲) 수풀 깊은 곳에 선원사는 은은히 보이고 남으로는 지리산이 웅장한데 그 가운데 요천수는 일대 장강벽파(긴 강의 푸른 물결)되어 동남으로 둘렀으니 별유건곤(신선들이 산다는 세계) 여기로다. 청림(靑林)을 더위잡고(높은 데로 올라가려고 무엇을 끌어 잡다) 산수를 밟아 들어가니 지리산이 여기로다. 반야봉 올라 서서 사면을 둘러보니 명산대천 완연하다. 상봉에 단을 모야 제물을 진설하고(음식을 상에 차리어 놓음), 단하에 복지(땅에 엎드림)하여 천신만고 빌었더니 산신님의 덕이신 지 이 때는 오월 오일 갑자라. 한 꿈을 얻으니 서기(상서러운 기운) 반공(공중에 서려 있음)하고, 오채(다섯 가지의 채색) 영롱하더니 일위 선녀(한 사람의 선녀) 청학을 타고 오는데 머리에 화관이요 몸에는 채의(彩衣)로다. 월패(가슴이나 허리에 차는 패옥의 한 가지) 소리 쟁쟁하고 손에는 계화일지(계수나무 꽃 한 가지)를 들고 당에 오르며 거수장읍(두 손을 잡아 높이 들고 허리를 굽히는 예)하고 공순히 여쭈오되,

"낙포(낙신, 낙수의 귀신으로 복희씨의 딸 복비가 낙수에 빠져 죽은 넋이라 함.)의 딸이더니 반도(선경에 있다는 큰 복숭아) 진상 옥경(옥황상제가 산다고 하는 가상의 서울) 갔다 광한전(달의 궁전)에서 적송자(고대의 신선 이름) 만나 미진정회(정회를 다 풀지 못함) 하던 차에 시만(시간이 지체되어 늦어짐) 함이 죄가 되어 상제 대로하사 진토(인간 세상)에 내치시매 갈 바를 모르더니 두류산(지리산) 신령께서 부인 댁으로 지시하기로 왔사오니 어여비 여기소서."

하며 품으로 달려들 새 학지고성은 장경고(학의 울음소리가 높은 것은 목이 길기 때문임)라. 학의 소리에 놀라 깨니 남가일몽이라. 황홀한 정신을 진정하여 가군과 몽사를 설화(이야기를 나눔)하고 천행으로 남자를 낳을까 기다리더니 과연 그 달부터 태기 있어 십삭(열 달)이 당하매 일일은 향기 만실(방에 가득참)하고 채운이 영롱하더니 혼미 중에 생산하니 일개 옥녀(玉女)를 낳았으니 월매의 일구월심(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짐) 바라던 마음 남자는 못 낳았으되 잠깐동안 풀리는구나. 그 사랑함은 어찌 다 형언하리. 이름은 춘향이라 부르면서 장중보옥(손 안의 귀한 보물)같이 길러내니 효행이 무쌍이요 인자함이 기린이라. 칠팔 세 되매 서책에 착미(맛을 붙임, 취미를 붙임)하여 예모 정절을 일삼으니 효행을 일읍(온 읍, 즉 온 마을)이 칭송치 아니할 이 없더라.

이 때 삼청동 이한림(이씨 성을 가진 한림. 한림은 예문관의 정구품 벼슬)이라 하는 양반이 있으되 세대명가(대대로 내려오는 명문가)요 충신의 후예라. 일일은 전하께오서 충효록을 올려 보시고 충효자를 택출(가리어 뽑음)하사 자목지관(백성을 사랑하여 다스리는 지방의 원이나 수령) 임용하실 새 이한림으로 과천 현감(작은 현의 원)에 금산 군수 이배(벼슬아치가 전근 명령을 받음)하여 남원 부사 제수하시니 이한림이 사은숙배(임금의 은혜를 사례하여 공손하게 절함) 하직하고 치행(행장을 차림)차려 남원부에 도임하여 선치민정(善治民情)하니 사방에 일이 없고 방곡의 백성들은 더디 옴을 칭송한다. 강구연월문동요(태평한 시대에 아이들의 노래소리가 들림)라. 시화연풍(나라가 태평하고 해마다 곡식이 잘됨)하고 백성이 효도하니 요순시절이라.

이 때는 어느 때뇨. 놀기 좋은 삼촌(봄의 석달)이라. 호연(명매기과에 딸린 새) 비조(자주호반새) 뭇 새들은 농초화답(풀을 희롱하며 소리로써 서로 응답함) 짝을 지어 쌍거쌍래 날아들어 온갖 춘정 다투는데 남산화발북산홍(남쪽 산에 꽃이 피니 북쪽 산도 붉어진다)과 천사만사수양지(천 갈래 만 갈래의 버드나무 가지)에 황금조(노랑딱새)는 벗 부른다. 나무 나무 성림(숲을 이룸)하고 두견 접동 다 지나니 일년지가절이라.

이 때 사또 자제 이도령이 연광(나이)은 이팔이요 풍채는 두목지(당나라 시인 두목)라. 도량은 창해 같고 지혜 활달하고 문장은 이백이요 필법은 왕희지라. 일일은 방자 불러 말씀하되,

"이 골 경처(아름다운 경치를 이룬 곳) 어디메냐? 시흥춘흥(詩興春興) 도도하니 절승경처 말하여라."

방자놈 여쭈오되

"글 공부 하시는 도련님이 경처 찾아 부질없소."

이도령 이르는 말이

" 너 무식한 말이로다. 자고로 문장재사(文章才士)도 절승강산 구경하기는 풍월작문 근본이라. 신선도 두루 놀아 박람(博覽)하니 어이하여 부당하랴. 사마장경(사마상여로 전한시대의 문인)이 남으로 강호에 떠 있다 대강(大江)을 거스를 제 광랑성파(미친 듯이 거센 물결과 파도)에 음풍(음랭한 겨울 바람)이 노호(성내어 부르짖음)하여, 예로부터 가르치니 천지간 만물지변이 놀랍고 즐겁고도 고운 것이 글 아닌 게 없느니라. 시중천자(시로써는 천자라고 할 만함) 이태백은 채석강에서 놀았었고, 적벽강 추야월에 소동파(소식) 놀았었고, 심양강 명월에 백낙천(당나라 때 시인인 백거이) 놀았었고, 보은 속리 문장대에 세조대왕 놀으셨으니, 아니 놀든 못하리라."

이 때 방자 도련님 뜻을 받아 사방 경개 말씀하되,

"서울로 이를진대 자문(자하문의 준말로, 북악과 인왕의 사이에 있는 성문) 밖 칠성암 청련암 세검정과 평양 연광정 대동루 모란봉, 양양 낙선대, 보은 속리 문장 안의 수승대,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가 어떠한지 모르오나, 전라도로 이를진대 태인 피향정 무주 한풍루 전주 한벽루 좋사오나, 남원 경처 들어보시오. 동문 밖 나가시면 장림 숲 선원사 좋사옵고, 서문 밖 나가시면 관왕묘(관우의 영정을 모신 사당)는 천고 영웅 엄한 위풍 어제 오늘 같사옵고, 남문 밖 나가시면 광한루 오작교 영주각(광한루 옆에 있는 누각) 좋사옵고, 북문 밖 나가시면 청천삭출(푸른 하늘에 깎은 듯이 돌출해 있음) 금부용(햇빛에 비치는 수려한 고산) 기벽하여(남에게 굽히지 않으려는 성질) 우뚝 섰으니 기암 둥실 교룡산성(남원 서쪽 7리밖에 있는 산) 좋사오니 처분대로 가사이다."

도련님 이르는 말씀이

"이 애, 말로 들어보더라도 광한루 오작교가 경개로다. 구경가자."

도련님 거동 보소. 사또전 들어가서 공순히 여쭈오되,

"금일 일기 화난(날씨가 화창하고 따뜻함)하오니 잠깐 나가 풍월음영 시 운목(같은 운자를 끝 자로 해서 한두 자 혹은 석 자로 된 어구)도 생각하고자 싶으오니 순성(성을 한 바퀴 돌아 봄)이나 하여이다."

사또 대희하여 허락하시고 말씀하시되

"남주 풍물을 구경하고 돌아오되 시제(詩題)를 생각하라."

도령 대답

"부교(父敎)대로 하오리다.

물러나와

"방자야, 나귀 안장 지워라."

방자 분부 듣고 나귀 안장 지운다. 나귀 안장 지울 제 홍영(붉은 색의 가슴걸이) 자공(자주 빛깔의 재갈) 산호편(산호로 만든 좋은 채찍) 옥안(좋은 안장) 금천(비단으로 만든 언치) 황금록(황금으로 만든 좋은 굴레) 청홍사 고운 굴레 주락상모(벼슬아치가 타던 말 머리의 꾸밈새) 더뻑(헤아리지 않고 경솔히 덮치 듯이 행동하는 모양) 달아 층층 다래(말의 배 양 쪽에 달아서 튀는 흙을 막는 제구) 은엽등자(은엽으로 만든 등자(말을 탔을 때 두 발로 디디는 제구)) 호피도담(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안장)에 전후걸이 줄방울을 염불법사 염주 매달 듯

"나귀 등대하였소."

도련님 거동 보소. 옥안선풍(玉顔仙風) 고운 얼굴 전반같은(땋아 늘인 머리채가 숱이 많고 치렁치렁함을 말함) 채머리 곱게 빗어 밀기름에 잠재워 궁초댕기(궁초(비단)로 만든 댕기) 석황(천연으로 나는 비소의 화합물) 물려 맵시 있게 잡아 땋고 성천수주(성천지방에서 나는 수화주(좋은 비단)) 접동베 세백저(올이 가는 흰 모시) 상침(옷의 가장자리를 실밥이 드러나 보이게 꿰메는 것을 말함) 바지 극상 세목(최고로 좋은 올이 가는 무명) 겹버선에 남갑사(남빛 갑사) 대님 치고 육사단(비단 이름) 겹배자(소매가 없는 덧저고리) 밀화(밀과 비슷한 빛깔의 누른 호박의 한 가지) 단추 달아 입고 통행전(아래에 귀가 달리지 않은 예사 행전. 행전은 바지, 고의를 입을 때 정강이에 감아 무릎 아래에 매는 물건)을 무릎 아래 넌지시 매고 영초단(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한 가지) 허리띠 모초단(날은 가늘고 씨는 굵은 올로 짠 비단의 한 가지) 도리낭을 당팔사(중국에서 생산된 여덟 가닥으로 드리운 끈) 갖은 매듭 고를 내어 넌지시 매고 쌍문초(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한 가지) 긴 동정 중치막(소매가 넓고 길며 옆이 터지고 네 폭으로 된, 옛날 남자가 입던 웃옷의 한 가지)에 도포 받쳐 흑사(黑絲) 띠를 흉중에 눌러 매고 육분 당혜(앞뒤에 고추 모양을 그린 가죽신의 한 가지) 끌면서


Дата добавления: 2015-08-28; просмотров: 29 | Нарушение авторских прав







mybiblioteka.su - 2015-2024 год. (0.008 сек.)







<== предыдущая лекция | следующая лекция ==>